아리따운 우리한복전
아리따운 우리한복전
scroll down
02 전시작품
03 작품상세
아리따운 우리 한복 전의 화보컷은 패션 매거진 <보그 코리아>와 함께 진행했습니다.
04 전시소개
아리따운 우리한복전

수 년 간 ‘우리 문화유산 보호 및 지원’을 위한 사회환원 사업을 이어온 라이엇 게임즈의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존중’의 뜻을 담아 준비한 온라인 전시입니다. 본 전시를 통해 무형 문화재 4인 및 한국화 작가와 함께 제작한 두 벌의 한복 및 한국화 작품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리그 오브 레전드’ 속 구미호 전설을 기반으로 한 아름다운 챔피언 <아리>의 한복이 가장 한국적인 명인들의 손을 통해 실물로 재탄생됐습니다. 아름다운 인물화 속 이 한복을 입은 <아리>의 모습 및 같은 컨셉으로 제작된 남성 한복을 입은 <이즈리얼>의 새로운 모습 또한 주목해주세요.

05 작가소개
침선장 구혜자
국가 무형문화재 제 89호
침선이란 바느질로 의복과 장신구를 만드는 일로, 이러한 침선기술을 가진 사람을 침선장(針線匠)이라 합니다. 구혜자 침선장은 우리나라의 제 2대 침선보유자로 국가 무형문화재이며,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장려상, 특별상을 비롯해 보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한 명인입니다. 본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리그 오브 레전드’ 속 아리의 한복을 전통 기술에 기반해 새롭게 해석해냈습니다.
금박장 김기호
국가 무형문화재 제 119호
금박장(金箔匠)이란 직물 위에 얇은 금박을 이용해 다양한 문양을 찍어내는 장인을 의미합니다. 금박 기술은 과거에는 조선시대 왕실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됐습니다. 옷의 구성에 어울리는 문양을 선별, 배치하는 안목과 문양판 조각을 위한 목공예 기술, 주재료에 대한 이해 등 오랜 제작 경험을 바탕으로 완성되는 기술입니다. 김기호 금박장은 5대째 집안의 기술을 계승한 무형문화재이며, 아리 한복에서 영감을 받은 여성 한복에는 ‘봉황’ 장식을, 같은 컨셉의 남성 한복에는 ‘장로 드래곤’ 장식 등을 넣었습니다.
매듭장 정봉섭
국가 무형문화재 제 22호
매듭장이란 끈목(多繒)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매듭을 짓고, 술을 만드는 기술 또는 그러한 기술을 가진 사람을 이릅니다. 정봉섭 매듭장은 초대 매듭장 보유자인 부친께 매듭일을 배웠으며, 4대째 전통매듭을 가업으로 이어오고 있습니다. '아리'따운 우리한복 두벌에 장식할 매듭, 노리개와 허리띠 제작을 위해 명주실을 염색하는 것부터 풀고, 감고, 합하고, 꼬는 여러 과정을 통해 오색영롱한 매듭을 맺고 술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게임 속 아리 한복에 있는 나비노리개의 느낌을 살려 제작하였으며, 두벌의 한복에 모두 어울리며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아리 허리끈도 제작하였습니다.
화혜장 황해봉
국가 무형문화재 제 116호
화혜장(靴鞋匠)이란 전통 신을 만드는 장인으로, 조선시대 신목이 있는 신발인 화(靴)를 제작하는 ‘화장(靴匠)’과 신목이 없는 신발인 혜(鞋)를 제작하는 ‘혜장(鞋匠)’을 통칭합니다. 5대째 화장 가문의 가업을 잇고 있는 화혜장 황해봉은 제 24회 전승공예대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키도 했습니다. ‘아리’따운 한복 전을 위해 전통의 기술에 기반하되 여성 신발에는 ‘하트’ 장식을, 남성 신발에는 ‘장로 드래곤’ 장식을 넣는 새로운 시도를 가미했습니다.
이동연 한국화 작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학사, 석사, 박사
대학 강사 강의 27년, 개인전 31회 등의 이력을 보유하였으며, 현재 인물화 중 ‘미인도’를 주요 테마로 작품활동 중입니다. Dream is real, Loveholic 작업은 전통 채색화 기법에 기반을 두고 살아 움직이며 호흡할 것 같은 인물화 표현에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